조상들이 남겨준 문화 유산 문자생활을 토대로 조화와 균형 지향해야

 

  인간은 시간이라는 단위를 만들어 새롭게 시작하는 단위에 ‘새 해, 새 달, 새 날’같이 ‘새’를 붙이고, 새로운 의식이나 다짐의 출발점으로 삼기도 한다. 2014년 9월이라는 것도 흘러가는 시간의 한 과정이지만, 우리는 새 학기의 시작으로 받아들이고, 특히 우리 이화여대의 경우에는 새로운 총장이 새로운 비전으로 새로운 이화를 만들기 위해 새롭게 노력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새 학기라는 표현을 하면서 우리 조상들이 우리에게 물려 준 문화 유산을 생각하면서 새로운 다짐과 각오를 한 번 해 보기를 바란다. 문화 유산은 필자의 전공에 맞추어 우리 조상의 문자 생활에서 찾아 보기로 한다.

  고유한 문자를 가지지 못했던(혹은 가졌다 하더라도 없어져 버린) 한국인의 조상들은, 지금으로부터 약 2,000년 내지 2,500년 전쯤에, 인접해 있는 종족의 문자인 한자를 수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게 된다. 그런데, 한국어와 중국어는 음운·형태·통사에 있어서 큰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를 표기하기에는 부적절한 면이 많아 우리의 조상들은 한자로써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해 새로운 용법을 만들어 변용하게 된다. 단어문자인 한자를 빌어와 음절문자식으로 변용하여 표기하기도 하였고(예: ‘都, 古’ 등은 각각 우리말의 ‘도, 고’ 등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 이에서 더 나아가 음소문자식으로 변용하여 표기하였다.(예: ‘ㅅ, ㅁ, ㅂ, ㄴ’ 등을 표기하기 위해 ‘叱, 音, 邑, 隱’ 등을 사용) 이러한 과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첫째, 고유의 것이 없을 경우에는 차용(수용)하되, 한국적인 실정에 맞게 변용하라.
15세기 동방의 조그만 나라였던 조선에서는 인류의 문자사를 새로이 하는 대단한 창조가 일어나는데 그것은 바로 훈민정음의 창제이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게 되는 배경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큰 동기는 한자에 의한 문자 생활의 불편이었을 것이다. 인류의 문자사를 새롭게 한 이 창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둘째, 수용과 변용이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에는 스스로 창조하라.
한글에 의한 표기 방법에 대한 논의는 1824년 유희 선생이 <언문지>에서 시작되는데,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개화기와 일제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표기법의 혁신을 주장하는 일련의 학자들과 기존의 표기 방법을 고수하려는 학자들이 수십년에 걸쳐 대토론의 거치게 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셋째, 실질적인 운용에서는 그것의 기능을 고려하여 혁신하되 충분한 토론을 거쳐라.
몇 십년간의 토론 끝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만들어지는데, 이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원리는, 훈민정음 창제 후 「한글맞춤법 통일안」이 만들어지기까지 몇 백년 동안 사용되던 표기의 원리를 전면적으로 바꾸는 것이었다. 이 원리는 “한글맞춤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 중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은 공시적인 음운규칙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은 형태음소적 표기를 하고, 공시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것은 음소적 표기를 함으로써, 언어 속에 내재되어 있는 규칙과 언어를 표기하는 문자의 표기방법을 조화시키는 것이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넷째, 실재체의 조화를 꾀하되, 상반된 원리의 균형을 항상 생각하라.
외부의 것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우리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수용하고, 외부의 것으로 만족할 수 없을 경우에는 새롭게 창조하고, 과거의 관용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혁신하되 충분한 토의를 거치고,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조화와 균형이 되도록 하라. 이것이 문자생활을 통해서 우리 조상들이 우리들에게 물려진 문화 유산이다. 새롭게 시작하는 이 학기에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한 번 되새기고 가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