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학보인 <성대신문>이 지난 해에 이어 또 결호됐다. <성대신문> 김통원 주간 교수가 기사 기획을 예정 회의 시간보다 늦게 제시했다는 이유로 학보 발행 하루 전인 10월13일 결호를 결정했다. 취재 일정 변경 등으로 애초 기획을 수정, 대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신문사 특성상 이는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판단이다.

  김 주간 교수는 “토요일에 기획이 수정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결호를 결정했다. 하지만 <성대신문> 기자단은 취소된 기사의 대안으로 학교 측이 민감하게 받아들일 만한 기획을 제시해 김 주간 교수가 결호를 결정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성대신문> 기자단은 기존에 진행한 취재를 기사화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후 ‘학교 측의 노동문제연구회 간담회 행사장 당일 폐쇄’, ‘호암관 4층과 5층 사이 휴게 공원 폐쇄’를 쓰겠다고 주간 교수에게 말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를 접한 김 주간 교수는 “학교 측에 너무 불리하게 쓴 것 아니냐”고 말했다고 한다.

  <성대신문> 기자단이 결호 사태를 두고 총장과 직접 면담하기 위해 김 주간 교수에게 결재를 요청하자 김 주간 교수는 간사를 통해 결재해줄 수 없다고 전했다. 주간 교수로서 마땅히 져야 할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모양새다. 김 주간 교수는 <성대신문> 기자단이 제출한 기획안과 기사를 검토하고 합리적으로 편집권을 행사해야 했으며, 결호 사태에 이르지 않도록 책임졌어야 했다. 학교 측도 뒷짐을 지고 있다. 1일 <성대신문> 보도에 따르면 성균관대는 결호 사태의 책임을 진다는 의미로 김 주간 교수가 제출한 사표를 수리하지 않았다. 이에 <성대신문> 기자단은 주간 교수 사퇴, 편집권을 침해하는 신문 제작 체계를 개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현 상황에선 기자단이 정당한 편집권을 행사하며 학보를 발행할 수 없다고 판단해서다.

  <성대신문>이 주간 교수의 결호 결정으로 학보 발행에 파행을 겪는 동안 전통을 지켜온 성균관인의 학보는 설 자리를 잃었다. 결호 결정은 쉽사리 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아니다. 결국 피해를 입는 사람은 <성대신문> 독자다. 김 주간 교수가 누구를 위해 편집권을 행사하는 것인지 의문스럽다. 편집권의 지향점은 독자여야 한다. 김 주간 교수가 독자를 최우선으로 해야 할 학보를 결호하면서까지 지키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성균관대는 <성대신문>이라는 정론지의 결호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