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범한 아베 신조 정권이 극우 세력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본이 11년 만에 방위비를 약 57조원 늘리는 정부 예산안을 확정한 것이다. 일본은 작년 기준 전 세계 국방비 순위 6위에 올랐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일본의 이러한 움직임에 긴장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작년에 선거 공약으로 ‘평화헌법’ 개정을 내세우기도 했다. 1946년 11월,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일본은 ‘일본국헌법’을 공포했다. ‘평화헌법’이라 불리는 이 법의 제9조 제1항에는 ‘국권의 발동으로서의 전쟁과 무력에 의한 위협 또는 무력의 행사는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는 영구히 포기한다’고 명시돼 있다. ‘평화헌법’ 개정은 곧 일본이 주변국과의 국제 관계를 군사적인 행동으로 풀어 나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는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이다. 일본의 ‘평화헌법’ 개정 시도는 일본이 저지른 비참한 전쟁사를 고스란히 되새기는 하나의 연혁이 될 것이다. 제국주의의 말로를 걸은 일본 때문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의 여러 국가가 아직도 전쟁의 상흔을 지닌 채 일본과 날을 세우고 있다. 이 과정도 하나의 변천이고 흥망이라면, 아베 총리가 택한 이번 노선은 되풀이되는 역사라는 명제를 반증하는 일일 것이다.

  본지는 이번 호에 생활협동조합이 문화유적답사를 진행한 답사기, 복원과 관리를 통해 다시금 제 모습을 찾아가는 ‘한성’의 사대문과 그곳에서 찾은 이화의 흔적을 기사로 전했다. 옛 기억을 더듬는 일은 분명 현재에서 과거와 같은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다.

  그렇다면 우리는 현재진행형인 역사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작년 6월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 200명 5명 중 1명이 역사에 ‘관심이 없다’고 응답했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조사에 응한 대학생 3명 중 1명(약 30%)이 우리나라가 역사 왜곡과 독도, 동해 표기 등을 두고 분쟁 상황에 있다고 판단하는 이유를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고 설득력이 없어서’라고 답했다는 점이다.

  가깝고도 먼 이웃 나라가 극우 노선을 걷고 있다. 외신이 연일 우려를 쏟아내자 한 걸음 주춤한 모습은 잠시일지도 모른다. 이에 우리 스스로 역사를 알고 진실의 목소리를 높여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