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HO(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국제수로기구)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가한 장동희 국제표기명칭대사는 22일 동북아역사재단 회의실에서 전국의 대학생 90명을 대상으로 ‘동해 문제’에 대처하는 올바른 방법에 대해 강연했다. 강연내용은 동해 표기 현황, 동해 문제와 독도 문제의 차이, 정부와 민간 차원의 문제 해결 방법 등으로 이뤄졌다.

 장 대사는 국제 세계지도에 ‘동해’가 병기된 사례가 과거에 비해 많아졌다며 강연을 시작했다. 사이버외교사절단 VANK(반크)와 정부가 조사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0년까지만 해도 사례의 비율은 2.8%에 불과했다. 이후 반크를 비롯한 각종 민간단체와 정부 차원의 노력을 바탕으로 2009년에는 동해 병기가 28.7%까지 증가했다.

“현재는 30%의 지도에서 동해 병기가 돼 있어요. 9년 만에 사례가 약25%가 증가한 것은 엄청난 성과죠. 하지만 여전히 일본해 단독 표기가 우세한 상황입니다.”

 정부의 ‘동해 병기’ 주장이 ‘동해 단독 표기’보다 매우 소극적인 대처라는 의견도 있다. 동해 단독 표기에서 더 나아가 아예 ‘한국해’·‘조선해’로 표기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장은 18세기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다수의 공식지도에서 동해를 ‘조선해’로 표기했던 사례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그는 동해문제를 해결하는 데 감정적이고 급진적인 태도를 지양할 것을 부탁했다.

 “동해 병기조차 억울하다는 마음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한 발짝 물러나 일본해 단독 표기를 저지시키고 동해 병기부터 실현하는 점진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장 대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동해 문제와 독도 문제를 둘 다 ‘분쟁화’해야 할지 헷갈려 한다. 동해 문제와 독도 문제는 일본 식민 지배와 관련된 한·일간 문제이며 국민 감정상 특히 예민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4월13일 시작된 ‘백악관 동해 투표’가 그 예다. 동해 문제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당시 10만 명이 넘는 국민들이 투표에 참가했다. 하지만 ‘동해 문제를 분쟁화하는 것은 일본이 원하는 작전’이라며 동해 문제가 이슈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네티즌들은 두 주장 중 어느 것이 맞는지 혼란에 빠졌다.

 이에 대해 장 대사는 동해 문제를 독도 문제와 달리 분쟁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독도가 영유권 문제라면 동해는 지명 표기 문제입니다. 독도 문제의 경우 지리적으로, 역사적으로, 국제법상으로도 독도는 우리 땅이기 때문에 우리가 방어적 입장입니다. 하지만 일본해 단독 표기가 우세한 ‘동해 문제’의 경우 우리는 현상을 타파해야 하는 공격적 입장이라고 할 수 있죠. 동해 문제는 우리가 불리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슈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는 동해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정부 차원과 민간 차원으로 나눠 설명했다.

 “정부의 경우 IHC 해도 개정판에서 동해 병기가 관철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해야 합니다. 해외 공판을 통한 국제기구, 각국 정부, 지도제작사, 언론 등과 접촉을 강화해야 하죠. 또한 민간 차원에서는 반크, 해외교민 단체 등의 홍보 캠페인이 지속적으로 전개돼야 합니다.”

 그는 지리학자들의 학술적 노력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덧붙이고 동해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이해를 촉구하며 강연을 끝마쳤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