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신문 삼면초가(三面楚歌) (1)

 대학 신문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일부 대학은 대학신문에 제재를 가하기도 하고 학생들의 대학 신문을 향한 관심은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지는 ▲대학 신문의 편집권 ▲독자의 관심과 구독률 ▲학생 기자 지원율 등을 통해 대학 언론이 직면한 세 가지 위기에 대해 살펴보고 전문가를 통한 극복 방향을 찾아본다.

 

글 싣는 순서

1. 학생운동과 함께한 편집권 분쟁
2. 독자의 시선으로 본 대학 신문
3. 대학 신문의 위기, 해결방안을 고민하다

 

학생운동과 함께한 편집권 분쟁

 1912년 창간된 숭실대의 ‘숭대시보’를 시작으로 1980년대에는 142개의 대학에서 신문을 발행했다. 대학 신문은 80년대 학생운동과 맥을 같이 하며 언론의 자유를 주장해왔다. 특히 대학 신문의 편집권은 주간교수와 학생 기자 사이에서 오랫동안 문제시돼왔다. 1980년대에는 박정희의 군부 체재를 이어받은 전두환, 노태우 정권의 탄압과 5.6조치 등에 투쟁하며 사전검열을 거부하고 편집권을 찾으려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극에 달했다. 본지는 과거의 신문기사들을 통해 1980년대 대학 신문 편집권 투쟁의 과정을 되짚어 봤다.

△국가차원의 대학 신문 탄압…학생 기자 연합해 결의
 1980년대에는 전두환, 노태우 정권을 거치면서 대학 신문 검열이 강화됐다. 1979년 박정희 정권은 ‘언론 출판 보도는 사전에 검열을 받아야 한다’ 등이 포함된 계엄령을 발표해 언론의 자유를 탄압했다. 1985년 문교부는 ‘그동안 학생 기자 중심으로 제작해오던 대학 신문을 대학홍보위원회 주도로 제작하라’는 대학 신문제작 지침을 내리기도 했다. 문교부는 당시 교육·과학에 관한 업무 및 교과용 도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이다.
 문교부는 1980년대 후반에는 정권을 비판하는 기사를 쓴 학생 기자를 구속하는 등 더욱 강력한 지침을 내렸고, 1990년에는 대학 신문에 기사 평가제를 적용하기도 했다. 1988년 대학 신문이 ‘6.10 남북 학생회담’을 비판하는 기사를 내자 6월8일 전국대학에 ‘대학 신문은 명실공히 학술논쟁이나 대학 내 건전한 언론매체로 본분을 다할 수 있도록 대학 당국이 적극 노력해야 한다’는 지시를 내렸다. 1년 뒤인 1989년에는 5.6조치를 내려 편집권을 학생 기자에게 이양해 기사에 관한 모든 책임을 학생에게 묻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당시 일부에서는 문교부의 이같은 지침은 대학언론에 대한 통제 행위로 간주했다. 실제로 5.6조치 이후 반년동안 20여명의 편집장·기자·필자가 구속됐다. 한편 대부분 대학은 5.6조치 이후 학생에게 발행권을 이양하기보다는 기사의 통제를 강화하거나 예산 지급을 중지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학 신문을 억압했다. 문교부는 1990년에 평점제를 적용해 문제가 되는 이념성 기사에는 벌점을 부과, 벌점 누계에 따라 주간교수에게 경고를 주고 편집장을 구속하는 등의 방침을 발표했다.
 이에 대학 신문사들이 연합해 1989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꾸준히 ‘대학 언론의 자유’를 주장했다. 1989년에 전국대학신문방송기자연합회 소속 학생 기자 약600명이 서강대에 모여 ‘대학언론 출판 탄압 규탄대회’를 열었으며, 1990년대에는 서울시내 23개 대학 신문사가 연대해 언론의 자유를 주장하는 결의대회를 했다.

△2000년대에도 이어진 편집권 투쟁…독립적 편집권 가지려면 경영권과 독립돼야
 2000년대도 여전히 대학 당국의 대학 신문 검열과 편집권 분쟁이 이어졌다.
 삼성이 재단으로 있는 성균관대는 2000년대 초 재단과 학교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가 실린 교지 ‘성균’ 500부가 강제 회수됐다. 2005년에는 ‘동덕여대학보’가 총장의 학교 운영을 비판하는 기사를 실어 주간교수와 기자직에 있던 16명이 전원 해임당해 제호가 없는 신문을 발행했다. 이후에도 ‘명대신문’, ‘한남대신문’ 등 다수의 학보사 및 교지가 학교로부터 제재와 탄압을 받았다.
 이재경 교수(언론정보학과)는 “대학 신문이 학교의 지원을 받는 이상 학교 측과의 권력관계는 불가분의 관계”라며 “편집권이 학교와 독립되기 위해서는 학보사의 경영권이 독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본지, 서명운동 등 홍보활동 전개해 1989년 편집권 위임받아
 본지는 1952년 2월12일 창간호 발행 후 적극 사회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며 독립적인 언론기구로 나섰다. 1960~70년대에는 학내 민주화 운동을 중심으로 기사를 작성했으며 1960년대에는 출판부 소속에서 벗어나 특수기관으로 독립했다. 1971년 신문방송학회는 서울 14개 대학 신문에 관한 실태를 조사해 “대학 신문은 학교 당국과 대립된 상태에서 학생을 위한 신문을 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지는 이외에도 1985년 발행된 제800호의 4면에 걸쳐 ‘언론자유 수호’ 특집 기사를 게재해 언론 자유의 중요성을 알렸다. 이때까지도 본지의 원고 최종결정권은 주간교수에게 있었다.
 본지는 문교부 5.6조치 이전인 1989년 4월3일에 편집권 문제로 주간교수와 학생 사이에 마찰이 있었다. 주간교수가 원고에 관한 최종결정권을 주장하며 머리기사 제목을 삭제할 것을 요구하자 본지는 신문 제작을 중단했다. 당시 본지는 ▲편집자율권 확보 ▲논설회의 폐지 ▲예결산 공개 및 참여를 요구하며 4월3일~11일 교내지지 서명운동을 받는 등의 홍보활동을 전개했다. 이후 학교 측과 두 차례의 면담을 통해 주간교수가 가지고 있던 편집권은 국장에게 위임됐다.

◆ 5.6조치: 문교부가 대학언론의 건전화를 유도한다는 이유로 총·학장, 주간교수로 돼 있는 발행, 편집인 명의를 학생신분으로 바꿔 편집 책임을 지도록 한 조치
◆ 제호: 저작출판물의 고유 제목 명칭.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