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언론기관이 편집권 독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앙대 교지 <중앙문화>는 작년 11월 대학 기업화 현상에 대한 글과 총장을 조롱하는 만화가 논란이 돼 전량 수거됐다. 그 후 <중앙문화>에 지급되던 예산은 전액 삭감됐다.

<중앙문화> 사태가 일어난 이유는 단순하다. 대학 언론기관의 편집권이 독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앙문화>는 그동안 학교 기관인 언론매체부의 검토를 받아 교지를 발행했다. <중앙문화>뿐만이 아니었다. 본교 교지 <이화>도 교지 발간 전 학생처에게 인쇄물 발간 허가를 받아 교지를 발행해왔다.

성균관대학교 신문 <성대신문>도 신문 배포 전 총장 확인 절차를 거쳐 신문을 발간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대학 언론들이 민감한 사안을 다루거나 학교에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는 것을 원천 봉쇄하게 만든다. 이는 곧 대학 언론기관의 표현의 자유가 강력히 침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의 표현의 자유 후퇴의 중심에는 대학 언론의 위기가 있다. 대학 언론 위기의 원인으로는 종종 대학 언론 자체가 꼽히기도 한다. <고함20>은 작년 10월8일(목)‘학보사가 없어져야 하는 3가지 이유’라는 글을 온라인에 게재했다.

<고함20>은 이 글을 통해 학보의 비판 기능이 약화된다는 점, 학보가 특징을 살리지 못하고 기존 언론의‘짝퉁’이 되려 한다는 점, 권위적인 문체를 비롯해 흥미 있는 기사가 부족한 점을 대학 언론의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물론 대학 언론에는 반성할 점도 상당 부분 있다.

실수를 할 때도 있고 독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기사가 무엇인지 알아채지 못할 때도 있다. 그러나 부족한 점은 자체적으로 반성하며 고쳐나가야 한다. 그 과정에는 어떠한 권력도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 고려대학교 신문 <고대신문>의 강승리 국장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대학 언론은 미흡하더라도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오히려 미숙함이 특권이고 대학 언론이 그 실수를 자정할 능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학교도 대학 언론기관의 이러한 점을 존중해 더 이상 편집권을 침해하지 말아야 한다. 헌법에서는 사전 검열을 금지하고 있다. 즉, 많은 대학들이 시행하고 있는 허가제는 표현 자유의 권리를 침해하는 불법이다. 학문과 지성의 산실인 대학에서 그러한 불상사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

프랑스 계몽주의를 대표하는 비판적 지식인 볼테르는 이렇게 말했다.“나는 당신이 하는 말에 찬성하지는 않지만, 당신이 그렇게 말할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서라면 내 목숨이라도 기꺼이 내놓겠다.”대학이야말로 가장 관용의 정신을 지켜야 하는 곳이 아닐까 생각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