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도서관(중도)이 주최한 ‘양적 연구를 위한 통계·여론조사 자료 탐색법 교육’이 20일(수) 오후2시 이화­포스코관 B161호에서 열렸다.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 서만덕 연구원이 연사로 참여한 이번 강연에서는 중도를 통해 통계자료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인터넷 통계 사이트를 활용한 통계·여론조사 자료 활용 노하우를 소개했다.

△중도 DATABANK,  통계자료 무료제공
본교 학생은 중도  홈페이지(lib.ewha.ac.kr)를 통해 여러 통계자료 사이트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무료 이용하려면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오른쪽 상단의 ‘전자정보원교외접속’을 클릭해야 한다. 교외접속 후 홈페이지 메뉴 중 전자자료→데이터베이스로 들어가면 다양한 학술자료 참고 사이트 목록을 볼 수 있다. 이 중 통계자료를 참고할만한 사이트로는 DBPIA(dbpia.co.kr), KISS(search.koreanstudies.net)와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CD)가 제공하는 데이터 뱅크(ksdc.re.kr/databank) 등을 꼽을 수 있다.

강연에서는 KSDC가 제공하는 데이터뱅크 사이트 이용법을 주로 소개했다. 데이터뱅크는 1970년대부터 축적된 여론조사자료, 통계자료와 함께 MY-STAT, MY-SURVEY라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뱅크의 ‘여론조사자료’와 ‘통계자료’ 항목에서는 키워드, 주제, 테이블 검색 등 다양한 검색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여론조사자료 중에는 국내 여론조사 결과뿐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의 선거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한 설문 및 연구자료인 CSES, 세계 각국의 사회과학자들이 각국의 사회, 문화, 정치적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5년마다 실시하는 설문조사 결과인 WVS(World Values Survey)도 있어 사회과학 연구에 유용하다.

데이터뱅크의 메뉴 중 ‘MY-STAT’는 사이트 이용자가 보유한 통계자료를 분석해주는 서비스다. MY-STAT 메뉴를 클릭하면 ‘수치파일입력’ 칸이 나타난다. 이 칸에 수치화된 자료를 담은 텍스트(*.txt)파일을 업로드하면 된다. 수치화된 자료는 엑셀로 된 통계자료를 메모장에 붙여넣기해 만들 수 있다. 메모장 파일을 업로드한 후 확인을 누르면 그래프, 비율 등으로 분석된 자료를 볼 수 있다. 자세한 사용방법을 확인하고 싶으면 ‘수치파일입력’ 칸 오른쪽 상단의 ‘Help’를 참고하면 된다.

MY-STAT 옆 메뉴인 ‘MY-SURVAY’는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만들고, 배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해 설문지를 만들면 설문지 고유의 URL 주소가 제공되며, 이 주소를 온라인으로 배포해 설문조사 할 수 있다. KSDC에 의뢰하면 설문지를 세련되게 디자인할 수도 있다.

△국가통계포털, 외국 통계자료 사이트 활용하는 방법도 유용해
국가통계포털, 외국 통계사이트인 ICPSR을 통해서 좋은 통계자료를 얻을 수도 있다.
국가통계포털(kosis.kr)은 국가가 통계를 제공하는 사이트다. 사이트의 우측 메뉴를 잘 이용하면 조사과정까지 자세하게 나온 자료도 검색할 수 있다. 상세한 자료는 대부분 유료다.

정부의 각 부처가 보유한 통계포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곳에서는 국가통계포털보다 세밀한 통계자료를 찾을 수 있다. 각 부처의 통계 사이트를 빨리 찾아가고 싶다면 검색포털 구글(google.co.kr)에 접속해 ‘정부부처명+통계(예: 보건복지가족부 통계)’ 형태로 검색하면 된다.

국내자료로 만족할 수 없다면 미국의 대표적인 정보창고인 ICPSR(The Inter-University 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를 이용하자. 신청하고 싶은 자료가 있다면 ICPSR 홈페이지(ksdc.re.kr/icpsrdb/trial.htm)에 접속 후, 페이지 우측의 ‘ICPSR download 신청’을 누르고 자료명, Study 번호, 이메일 등을 입력하면 된다. 다음날 사용자의 메일로 자료가 전송된다.

이 외에 기초학문자료센터(krm.or.kr)와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or.kr)에서도 학술 및 사회과학연구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
통계사이트에서 원하는 자료를 찾기 힘들다면 기사를 검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기사에서 자료의 출처를 보고 정보원을 찾아갈 수 있다.
                         
박현주 기자 quikson@ewhain.net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