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 동결과 ECC 내 대안편의시설 확충 같은 공약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40대 총학생회 ‘이화 to Basic’이 출범한지 한 학기가 지났다. 복지사안 및 ‘민주적인 학생회 운영’ 정책에서는 가시적인 성과를 냈지만 등록금 동결과 ECC 내 대안편의시설 확충 같은 공약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총학이 내걸었던 공약들, 어떤 성과 있나?
총학은 교육투쟁·ECC 상업시설 반대·민주적인 학생회 운영·사회와 함께하는 연대활동·복지사안 등 5대 정책에서 다양한 공약을 추진했다.

그 중 가장 많은 성과를 낸 정책분야는 복지사안이다. 복지사안 공약 중 ▲학생문화관(학문관) 수면실 확대 및 ECC 수면실 신설 ▲ECC 내 사물함 624개 설치 ▲정·후문 및 학문관 자전거·오토바이 주차장 설치 ▲시험기간 중 헬렌관식당 오후9시까지 2시간 연장운영 ▲휴대폰 무료충전기 학문관·생활환경관·ECC B3층·중앙도서관 지하휴게실 추가 설치 ▲무료티켓 배부?단체관람을 통한 문화공연 저렴하게 즐기기 등을 실천했다.
이유정(소인발·06)씨는 “ECC내에 사물함이 확충된 것은 만족한다”며 “하지만 사물함 수가 생각보다 모자라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이 적어 아쉬웠다”고 말했다.

학문관 3층에 있던 수면휴게실은 1층 108-1·2호로 확대 이전했으며 침대 10개가 추가돼 26개가 설치됐다. ECC B338호에도 수면실이 신설돼 침대 18개가 생겼다. 자전거·오토바이 주차장은 학문관과 후문에 마련됐고 정문 근처도 주차장 설치를 준비 중 이다.
한편 총학생회 문화기획국은 ‘문화공연 저렴하게 즐기기’를 위해 연극 ‘고래’·‘나무자전거’ 할인·LG트윈스 개막전 무료관람 티켓 배부·제 10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단체관람 등을 추진했다.
정혜정(생명·07)씨는 “총학이 자전거·오토바이 주차장이나 헬렌관식당 연장 운영까지 추진한 줄 몰랐다”며 “생각보다 다양한 복지사안이 해결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2학기에도 공연무료티켓이나 할인티켓을 배부한다면 참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민주적인 학생회 운영’ 정책 관련 공약 중에서는 ▲과운위(과학생회운영위원회)·단운위(단대학생회운영위원회)를 방문하는 ‘찾아가는 총학생회’ ▲학생회 워크샵 ‘학생회 학교’·‘확대간부수련회’ ▲4월·6월 분기별 대중평가 실시 ▲사회문제 월례포럼회·초청강연회 개최 ▲‘여성의 날 바로알기’ 대자보전 등을 실천했다.

총학생회 이경진 학생자치국장은 “과 단위·단대 단위의 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하자는 의미에서 진행했다”며 “과 단위와 총학생회가 직접 만날 기회가 많지 않은데 과 단위와 직접 만나 과 학생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2학기에는 9월 말쯤 학내 자치활동 전반에 관한 ‘자치박람회’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결되지 않은 사안은?
등록금 동결·ECC 내 상업시설 반대 등 교육 투쟁 주력 사업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해결되지 못한 사안은 ▲등록금 동결 ▲징계규정 및 선전물 관리규정 철회 ▲학점적립제 및 한 학기 이수학점 21학점 확대 ▲예비수강신청제도 ▲ECC내 상업시설 반대 및 대안 편의시설 확충 등이다. 이와 관련해 총학은 1일(월) 학교에 ‘2차 중앙복지요구안’을 전달했다. 
 
총학은 지난 학기 1차 복지요구안을 통해 ‘징계규정 및 선전물 관리 규정을 철회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학생처는 1차 요구안 답변 공문을 통해 “고등교육법에 따라 학교설립인가를 위해서는 학칙이 필요하고 학칙에는 징계항목을 기재해야해 폐지할 수 없다”며 “문제가 있다면 이를 개정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학생복지센터 이종원 주임은 “이미 여러 차례 이야기했던 사항으로 철회는 불가능하다”며 “불합리한 부분이 있다면 개정하자고 제안했지만 논의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총학의 ‘학점적립제 및 한 학기 이수학점 21학점 확대’ 요구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 교무처는 공문에서 ‘과에 따라 18학점을 초과해 수강가능 학점이 결정되는 경우나 직전 학기 평균성적이 3.75 이상인 학생은 21학점까지 수강신청을 할 수 있으니 이를 활용할 것’을 권고했다.

박찬영(행정·06)씨는 “사회봉사나 리더십 수업 같은 경우는 1학점을 신청해야 해 나머지 2학점을 버려야한다는 생각에 리더십 2는 들을 수 없었다”며 “학점적립제는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예비수강신청제도’ 도입 역시 학교에서 거부하고 있다. 학교 측은 ‘개설전공의 교과목 교육계획을 반영한 교과과정에 따라 이수해야 하기 때문에 제도 도입이 어렵다’는 답변을 보내왔다.

‘ECC내 상업시설유입 반대’ 활동은 등록금 투쟁과 함께 총학이 핵심적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4월 협의회에서 ‘임대기간이 끝나면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총학이 ‘임대기간·임대조건·임대료’에 대한 정보 공개를 요구했지만 학교 측의 답변이 없는 상태다. 이 밖에도 총학은 ‘2차 복지요구안’에서 ECC내 ‘생활협동조합’ 등 대안 편의시설 확충·자판기 설치·열람실 24시간 운영·방음시설 및 카펫 설치·세미나실 및 강의실 사용 간편화 등을 요구했다.

정복희 부총학생회장은 “지난 학기에는 학내 상업화 문제나 ECC 내 상업시설에 대해 알리는 과정이었다”며 “2학기에는 불매운동 등 실천 가능한 활동을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논의 중인 사안은?
현재 관련 부처와 논의 중인 사안은 ▲졸업학점 시스템 구축 ▲생리공결제다. ‘졸업학점 시스템 구축’의 경우 교무처에서 학점이수상황 파악 및 졸업요건 충족에 필요한 학점 계산이 편리하도록 준비 중이다. 학적과 박지현 주임은 “현재는 학기별로 이수한 상황만 알 수 있다”며 “전공·전공기초·부/복수 전공별로 조회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처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생리공결제’ 도입은 총학이 ‘생리통으로 인해 침해받을 수 있는 교육권을 보장하기위한 제도’라며 빠른 시행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학생복지센터 김봉련 과장은 “총학이 4월에 보낸 복지요구안에 대해 관련 부처인 교무과에서 공문으로 답변을 보냈다”며 “제도시행 여부를 검토 중이나 아직 시행여부가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은지 기자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