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대 국회의원 총선 후보자 등록이 26일(수) 마감됐다. 한나라당 50명  · 통합민주당 40명 · 자유선진당 10명 등 15개 정당에서 총 190명이 비례대표 후보로 최종 등록을 마쳤다. 이들은 4월 9일(수) 총선을 거쳐 정당 투표율에 따라 54명만 비례대표 의석을 배정받게 된다.

비례대표는 지역 대표로 채우기 힘든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이 제도를 거쳐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국회의원이 되면 국회의 의정활동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최다 득표한 후보뿐만 아니라 그 이하의 후보들이 얻은 표도 비교적 공평하게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보의 출신 지역으로 지역감정을 해소하거나 소외된 계층을 배려할 수도 있다. 후보자들의 경력을 도구로써 단순히 생색내기 위한 일회성 목적이 아니라면 환영할 만한 제도다.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 모두 당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상징적인 인물을 비례대표 1번으로 선정했다. 기득권층이 주류를 이루는 한나라당은 당 이미지 쇄신을 위해 빈민촌 대모인 강명순 목사를 뽑았다. 통합민주당은 경제를 강조하는 정당임을 알리기 위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첫 여성 위원으로 활동한 이성남 금융전문가를 비례대표 1번으로 정했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도 각각 여성 장애인을 비례대표 1번으로 확정했다.

각 당은 약속이라도 한 듯이 유권자들이 환호할만한 인물을 비례대표 후보 전면에 내세웠다. 대표적으로 거론된 후보들로 미루어 봤을 때 과거의 총선에 비해 한 단계 발전했다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다만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는 몇 명을 제외하면 당선권 안에 든 그 밖의 후보에는 잘 알려진 전직관료나 대학교수를 영입해 비례대표 선정 노력이 부족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국민들로부터 구색 맞추기 식 후보 선정이었다는 평가를 받지 않으려면 비례대표들의 앞으로의 활동이 중요하다. 비례대표 후보 등록이 마감된 지금, 이들이 할 수 있는 일은 각 정당을 대표해 실속 있는 활동을 해야 한다. 각 당도 겉모양을 갖추는데 신경 썼으니 이제부터는 사실상 당선이 확정된 이들의 행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공식 선거운동은 27일(목)부터 시작됐다. 검찰은 돈과 거짓말, 미디어의 금품 요구가 없는 선거가 되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공식적인 선거 운동이 시작되기도 전에 한 후보의 돈다발 살포 현장이 적발됐다.

또한 여야 모두 후보 추천 과정에서 논란을 겪었고, 그 과정에서 비례대표제는 측근 챙기기 수단이라고 비판받기도 했다. 비록 정책 중심 선거가 아닌 인지도와 경력 위주의 선거로 그 의미가 퇴색됐지만 이럴 때일수록 유권자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귀중한 한 표를 행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