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쓰촨성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사망·실종 혹은 매몰된 사람이 10만 명을 넘어섰다. 신화통신은 중국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쓰촨·간쑤·난시·윈난 등 8개성에서 1만 3천 명이 사망하고, 건물 50여 만 채가 붕괴됐다고 보도했다.


현지에서는 CCTV를 통해 사고가 나가자마자 지진 피해지역에 도착해 종횡무진 수습 중인 원자바오 총리의 모습, 성금모금활동 헌혈을 위해 줄 서 있는 장면을 연일 보도 중이다. 국가적 위기상황을 중국 국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투명하게 공개하고,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 리창춘 정치국 상무위원은 지난 13일 4천여 곳의 방송과 신문매체에 단합과 사회 안정에 기여하는 보도를 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진앙지 원촨현에서는 구조대와 함께 방송기자를 투입시켜 속보를 내보내고 있다.


중국 최고지도부는 지진이 발생하자 사망자 수를 숨기지 않고 발표했고, 중국 언론들도 외신보다 앞서서 ‘더 늘어난 사상자수’를 발 빠르게 보도했다. 확실히 중국 정부가 변했다.


인터넷, 휴대전화 등이 발달한 상황에서 과거 공산주의 정권이 그러했듯 진실을 은폐하고 축소, 과장 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단순히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이 바탕에는 중국 정부·국민의 인식변화가 가장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최근 중국은 티베트 사태, 장(腸) 바이러스로 인산 수족구병 확산 등을 겪으며 숨기는 것만이 최선은 아니라는 것을 절실히 깨달았을 것이다. 또한 국제인의 열린 잔치인 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통제 장치가 유명무실해 진 것과도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이렇듯 괄목할 만큼 성장한 중국의 위기상황 대처능력을 한국의 현실과 비교해 보면 참으로 씁쓸하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는 쇠고기 파동이라는 위기를 겪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20%대 이하로 하락했고 여당 내부에서 조차 청와대 참모들과 관계부처 장관들을 교체해야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위기관리 능력의 부실함을 여실히 드러낸 결과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거기에는 불투명한 일 처리과정과 국민의 이해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졸속 행정·지나치게 독단적인 결정 등의 요인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민심을 얻기 위해서, 국제사회의 이해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의 진행과정에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 후 그에 따른 비판과 조언도 함께 고려하며 일을 진행시켜 나가야 한다. 중국 정부의 변화 노력을 지켜보며, 우리 정부의 위기대처방안을 재고해 봐야할 때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