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을 복수전공하는 ㄱ씨는 경제학 과목을 한 과목도 신청하지 못했다. 그는 “이번 학기가 졸업학기인데 경제학 과목을 하나도 넣지 못해 걱정 된다”고 말했다. 수강신청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불만도 매 학기 반복되고 있지만 학교 차원의 해결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수강신청 시스템부터 변화해야
지금과 같은 인터넷 수강신청시스템은 1996년에 도입돼 큰 변화 없이 13년째 사용되고 있다. 경제학과 대표 서수정(경제·06)씨는 “주변에 전공과목을 신청하지 못한 경제학과 친구들이 많다”며 “해당 과목에 대한 수요조사를 해서 그에 맞게 분반을 개설하는 등 수강신청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강신청을 총괄하는 교무과 관계자는 “필수과목의 수요는 각 전공 연구실에서 자료를 받고, 선택과목일 경우에는 주·부·복수 전공생 수를 고려해서 정원을 정한다”며 “학생들의 수요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다”고 말했다.

타대는 수강신청 시스템 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성균관대는 ‘책가방’ 제도를 통해 학부생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개설된 강좌에 한해 수강신청 이전에 원하는 과목을 ‘책가방’에 담도록 해 수요를 조사하는 방식이다. 성대 교무과 유인근 주임은 “실제 수강신청 수요와 100%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학생들의 수요 근사치를 최대한 반영하고자 2001년에 ‘책가방’ 제도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중앙대는 2007학년도 1학기부터 학번 끝자리의 홀수·짝수에 따라 수강신청 날짜를 달리하고 있다. 중대 학사운영팀 김지선 씨는 “그 외에도 각 단대 행정실에서 주전공생과 부·복수 전공생 사이에 차이를 두기 위해 4개 항목으로 학생 유형을 구분해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조적인 문제해결도 절실
교수충원·강의실 부족 등 구조적인 문제도 있다. 특히 주전공생을 비롯한 부·복수 전공생이 많은 학과는 교수충원이 시급하다. 이지현(경제·3)씨는 “전공강의의 대형화를 막고 과목당 분반을 늘릴 수 있도록 교수님 수를 늘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학부 내 타 전공과의 균형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교수충원은 쉽지 않다. 전임교원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과목당 분반을 늘리기도 어렵다. 김세완 경제학과장은 “매학기 교수충원을 대학 본부에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강변경기간에 학생들의 요구에 의해 분반의 정원의 늘어나는 이유는 강의실 때문이다. 강의실에 맞춰 정원을 정했지만 학생들의 수요가 많다보니 개강 이후에도 강의실을 옮기는 경우도 있다.

경영학과는 6개의 필수과목에 한해 주전공생을 위해 1과목당 1개 분반을 개설했다. 경영학 인증을 위한 평가기준도 변경됐기 때문에 이번 학기부터 분반 당 60명이었던 정원을 8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김정권 경영학부장은 “주전공생 뿐만 아니라 부·복수 전공생도 많아 수요조사가 쉽지 않다”며 “과거 해당학기의 수요를 통해 예측하고 분반을 개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세완 경제학부장도 “이번 학기 수강변경기간부터 주 전공생일 경우 우선 수강 신청할 수 있도록 교무과와 상의 중”이라고 말했다.

장세리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