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총학생회가 “앞으로 외부 단체에 가입·지지·연대선언을 하려면 과 학생회장·단대 학생회장 등 학생대표자 3분의 2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내용의 총학생회칙 개정안을 발의했다.

연세대 총학생회는 30일(금)부터 닷새 동안 개정안을 학생 총투표에 부칠 예정이라고 한다. 경희대·한국외대 총학 역시 올해 안에 이와 비슷한 회칙 개정을 공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른바 ‘비운동권 총학’인 연세대 총학의 발의는 한국대학총학생연합회(한총련)과 확실히 결별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돼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회칙 개정이 통과되면 진보적 학생 운동, 즉 ‘운동권 학생’들의 활동을 막을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총학생회가 대외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민주주의적 절차 확보를 시도했다는 점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동안 학생들에게 총학을 뽑을 권한은 있되 그들의 활동을 감시하고 제제할 수 있는 권한은 쉽게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양한 내부의 의사를 반영해야 할 학생회가 '연대사업'에 매달리면 안 된다”는 학생들의 목소리에 총학은 “학생들은 이미 선거를 통해 총학 활동에 동의했다”고 답하곤 했다.

최근 열린 본교 전체학생대표자회의에서는 ‘이화 in 이화’의 연대활동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총학의 대동제 계획이 민중연대 활동에 치우쳐 있어 이화인이 함께할 수 있는 자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화여대 총학’의 이름으로 ‘한­미 FTA 저지 공동행동’에 참여한 일에 대해서도 “FTA 반대는 총학의 의견이지만 전체 이화인의 의견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바 있다. 총학은 이러한 학생들의 의견에 역시 “총학의 방향은 이미 선거를 통해 인정받은 것”이라고 답해 실망을 안겨줬다.

총학생회의 연대 활동을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총학이 그들만의 정치성과 사회의식을 완전히 팽개치고 학내 복지사안에만 집중하는 것을 바라지도 않는다. 그러나 총학은 학생들에 의해 선출됐고, 학생들이 낸 돈으로 운영되는 단체인 만큼 학내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최대한 수용하는 것이 의무다.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대의기구인 총학의 본분을 되찾겠다는 의지로 총학생회 활동에 대한 학내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제도적 절차 확보를 고민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