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4일(일) 교육인적자원부(교육부)와 교육개발원이 대학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대학 취업통계조사 결과는 대입 수험생과 학부모들에게 대학 선택의 기준을 제공하며 대학평가에도 중요 요소로 작용한다. 그 중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이 이번에 발표한 교육부와 교육개발원의 조사다. 조사대학의 범위가 전국단위로 약 360여 개이며 4년제는 물론 전문대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국정감사 자료로 정부의 각종 재정지원사업과 평가에도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그러나 영향력만큼 신뢰할 만한 자료인지는 의문이다. 취업율은 대학이 자체적으로 조사해 교육부에 보고하기 때문에 대학의 ‘의지’에 따라 취업률이 일부 부풀려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매일경제(9월18일자)에 따르면 '취업률이 100%에 육박한다'고 교육부에 보고한 5개 대학(4년제 3곳, 2년제 2곳)의 실질 취업률은 68%에 불과했다. 한번도 취업한 적이 없는 졸업생이 취업자로 분류되기도 하고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정규직으로 바꿔 기재한 곳도 있었다. 고향에서 부모 농사일을 돕는 것도 취업으로 기록됐다. 현재 교육부는 자료를 받은 360여 개의 대학 중 30여 개를 선정, 그 중 일부자료를 추려 사실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의도적을 조작된 취업률을 확인하기란 쉽지 않다.

2004년 60.4%로 취업률 17위였던 중앙대가 1년 만에 무려 25% 포인트 상승한 85.1%로 2005년 취업률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취업률 포인트가 25% 높아지는 동안, 전체 취업준비자는 46만 4천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7만7천명이 늘었다.

취업의 질을 판단하는 항목도 구체적이지 못하다. 교육부는 ‘주당 18시간 이상 수급을 목적으로 일한 자’를 취업자로 본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구분돼있기는 하지만 근무기간이 1달에서 1년이면 임시직으로, 1달 미만은 고용직으로 분류된다. 편의점 아르바이트생도 1달 이상 근무하면 취업의 질에 있어 기간제 교사와 같게 평가받는다.

조사 대상 역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커리어 다음에 따르면 현재 대학생의 취업 준비기간은 약 13개월이다. 그러나 교육부는 지난해 8월 졸업자와 그 해 2월 졸업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해 실제 조사 대상자는 졸업한지 2달, 길어야 6달 된 사람들이다.
대학취업률 조사는 '대학정보 공시제'의 하나로 대입 수험생과 학부모에게는 대학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며 동시에 경쟁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자는 취지로 2004년부터 실시됐다. 그러나 현재 자료의 신뢰성 저하로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
교육부는 대학이 보고한 취업률에 대한 검증을 강화하고 취업 기준을 구체화해야 한다. 취업률이 특별히 높은 곳으로 보고된 특정 대학 일부 학과에 대해서는 표본조사가 아닌 전체 조사로 취업률을 파악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정확한 길라잡이가 될 수 있도록 근무형태와 급여 등 구체화된 취업 기준항목도 포함시켜야 한다.
취업률 조사, 제대로 정착될 경우 사회의 평판이 아닌 실질적 비교 평가가 이뤄져 대학간의 질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조사의 중요성과 필요성만큼 조사과정의 신뢰성이 전제돼야 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