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미래를 위해 학업을 잠시 멈추고 꿈에 뛰어드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이야기에 귀기울여 보자.

◆숨고르고 나를 되돌아보기

송인선(국문03·휴학중)씨는 번역가가 꿈이다. ‘번역을 하려면 우리말부터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 국문과를 선택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번역을 위해서는 외국어 실력이 필수요소. 그는 입학하면서부터 일본어권 교환학생을 준비한 결과, 내년을 일본에서 보낼 예정이다. 교환학생도 합격한 그는 또 휴학까지 하면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취미가 음악이라 피아노 학원에서 강사일을 하고, 평소에 공부하고 싶었던 중문과 수업을 청강하기도 한단다. 또 다른 학교에서 ‘건축’같은 자신의 전공과 전혀 다른 분야의 과목도 들어봤다고. 이쯤되니 휴학이 막무가내로 보이지만은 않는다. 휴학을 하니 가장 좋은 점이 무엇이냐고 묻는 질문염그동안 학업에만 매달리다가 나를 되돌아보고 쉴 수 있는 성장의 시기가 되는 것 같다”고 답한다.

◆심화된 학과 공부를 위해

웬만해선 ‘영어 잘한다’고 명함 내밀기도 어려운 요즘. 영문과가 아니더라도 토익점수 900점이 넘는 경우가 허다한데, 영문과 학생들의 노력은 어떠할까. 00학번 곽유진(영문·4)씨는 6년간의 대학 생활 중 2년을 외국에서 보냈다. 2학년 때는 영문과 교환학생으로 1년간 영국을, 한 학기 후 다시 1년간 프랑스로 해외인턴심을 다녀왔다. 그가 해외인턴심을 떠날때는 취업에 불리하다며 모두들 말렸단다. 그러나 내년 2월 졸업 예정인 곽유진씨는 벌써 두 기업에 합격통지를 받았다. “휴학 중 무슨 일을 할까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말에서 알찬 휴학은 오히려 득이라는 답이 나온다.

◆진로를 과감히 수정하는 용기

박현주(수교·1)씨는 이화에서 2년째 새내기다. 그는 작년에 공대 04학번으로 입학했다가 수능에 다시 응시, 수학교육과 05학번으로 입학했다. 그는 “내가 어떤 분야에 관심있는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대의 4개 과 중 하나를 선택하기가 힘들었다”고 말했다. 처음 다시 수능을 준비하기로 마음먹기는 힘들었지만 같은 이과계열이기에 현재 학업에 큰 어려움은 없다고. 막연히 걱정만 하던 작년과는 달리 지금은 교사라는 확실한 미래가 있기 때문에 또래보다 많은 나이가 문제되지는 않는다.

◆내 분야에서 미리 실무 경험을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것은 미래의 청사진을 그리는 것과 같다. 김묘길(언론홍보·3)씨는 이런 경험을 맛보기 위해 기꺼이 한 학기를 바쳤다. 지난해 2학기 YTN ‘백지연의 뉴스Q’라는 프로그램의 작가로 활동한 것. 작가 초반기에 기억남는 에피소드. “전화연결을 하는데 그날 앵커가 ‘000씨~’라고 불렀는데 아무런 대답이 없는 거예요. 생방송도중 방송사고를 내고 만거죠”. 그는 “방송 분야의 긴박한 현장경험을 쌓은 것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사회생활이란 것을 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고 회상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